오늘은 몸의 내부장기중 소화기관에 대한 위치와 기능을 말해보고자 한다.
사람의 몸은 뼈와 근육으로 내부 장기를 보호하고 있고 소화가 잘이루어 지도록 지켜준다.
이처럼 소화기계는 식도를 시작하여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간, 담낭, 췌장, 비장을 이룬다.
1. 식도(Esophagus)
식도는 약 22~25cm길이의 소화관으로 후두와 위를 연결하는 근육으로 된 튜브이다.
식도는 3부위의 좁아지는 곳을 제 1협부, 제 2협부, 제 3협부로 나눈다.
식도의 생리적 기능은 연하운동 즉, 음식물을 입으로부터 위까지 내려 보내는 것으로 약 1/3의 연하운동은
입과 후두, 나머지는 2/3은 식도의 작용이다.
2.위(Stomach)
횡경막 하부에 위치해 있으며 식도로부터 넘어온 음식물을 일시 저장했다가 일부 물질을 흡수 하고 나머지는 소장으로 보낸다.
위는 흡수 기능은 거의 없으나 당분과 알코올만은 선택적으로 흡수하며 기능은 자율신경인 교감신경, 부교감신경에 의해 조절된다.
위는 부위에 따라 크게 3개로 구분하며 입구는 분문 중간부분은 위체 끝부부은 유문부로 불리운다.
3.십이지장(Duodenum)
위에서 이어지는 소장의 첫부분으로 길이 25cm로 후복막에 위치하고 있다. 하행부는 총담관과 췌장액을 분비하는 공동개구를 가지고 있는데 이 부위가 십이지장 유두이다.
십이지자아에서는 빠른 시간 안에 많은 물질을 소화하여 일부 단순물질들만을 흡수하고 나머지는 공장으로 넘겨준다.
4.간(Liver)
인체에서 담즙을 분비하는 소화샘으로 무게는 약 1.2Kg 정도이며 복강의 우상부 횡경막 바로 밑 오른쪽에 위치한다.
담즙을 배출하는 좌우 간관은 간낭관과 합류하여 1개의 총담관이 되며 췌관과 함께 십이지장으로 연결되어 있다.
*간의 기능
- 담즙을 생성하고 이를 십이지장으로 배출한다.
- 탄수화물의 대사 혈액속의 여분의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저장하거나 부족하면 글로코겐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바꾸어 혈액 속으로 보낸다
- 단백질의 합성 및 대사 아미노산으로 여러 단백질을 합성
- 해독작용
- 여과작용 및 면역기능
- 비타민 저장과 대사
- 혈액 응고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
다음편에는 나머지 소화기관인 소장과 대장 췌장에 대해 알아보도록하자.
'장금이 동의 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기계란?(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간, 담낭, 췌장, 비장)-2편 (4) | 2021.10.19 |
---|